행복주택 · 국민임대주택 비교

2025년 공공임대주택 안내
행복주택 · 국민임대주택 비교

청년, 신혼부부, 고령자, 저소득층 모두 신청 가능!

LH청약플러스 바로가기 →
🏡 행복주택

지원대상: 청년(19~39세), 신혼부부(혼인 7년 이내), 한부모가정, 고령자(65세 이상) 등

임대조건: 시세 60~80%, 임대기간 최장 10년

소득·자산 기준: 도시근로자 평균소득 100% 이하, 자산 3.37억, 차량 3,600만원 이하

주택유형: 전용 16~44㎡, 전국 공급(2025년 25,000호 예정)

신청: LH청약센터, SH, 지방공사

🏢 국민임대주택

지원대상: 무주택 저소득층(수급자, 차상위, 소득 70% 이하), 고령자, 장애인 등

임대조건: 시세 50~60%, 임대기간 최장 30년

소득·자산 기준: 도시근로자 소득 70% 이하, 자산 3.37억, 차량 3,600만원 이하

주택유형: 전용 26~59㎡, 전국 공급

신청: LH/SH청약플러스, 지방공사 등

📌 신청 꿀팁 & 유의사항
  • 청약통장 사전가입 필수(주택종합저축 등)
  • 1세대 1주택 원칙, 다른 공공임대와 중복 신청 불가
  • 지역·유형별로 모집시기 다름 → 모집공고 필수 확인
  • 입주 후 자격 초과 시 퇴거 또는 임대료 인상 가능
  • 일부 지역은 선착순 잔여 공급 또는 수시 모집 운영
📌 요약

2025년 공공임대주택(행복주택·국민임대)은 무주택 청년, 신혼부부, 고령자, 저소득층에게 시세 대비 20~80% 저렴한 임대료와 최장 30년의 장기 안정 거주 기회를 제공하는 대표 주거복지 정책입니다. LH, SH, 지자체 청약센터에서 본인 상황에 맞는 공고를 꼭 확인하세요.

※ 본 정보는 2025년 공공임대주택 정책 기준이며, 각 모집공고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