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청각 장애인 맞춤형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

시청각장애인 맞춤형
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사업

점자정보단말기, 영상전화기 등 130종 이상 디지털 접근성 향상 지원

정보통신보조기기보급사업 홈페이지 →
📌 지원 대상

• 등록된 시각장애·청각장애·언어장애 등 모든 등록 장애인

• 국가유공자 중 상이등급 판정자 포함

• 전국 지자체 대상 (서울 기준 약 700명 지원)

💡 보급 기기 예시

• 시각장애인용: 점자정보단말기, OCR, 화면낭독 프로그램, 확대독서기 등 (62종)

• 청각·언어장애인용: 영상전화기, 자막/수화앱, 문자증폭기, 진동알림기 등 (45종)

• 기타 장애유형: 23종 포함, 총 130종 보조기기

💰 지원 금액 및 부담

정부지원 80% + 개인부담 20%

•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계층은 개인부담의 50% 추가 할인

• 고가 장비(예: 점자정보단말기 최대 870만 원)도 포함

• 본인 부담금은 지자체 탄력 적용 가능

📝 신청 방법 및 절차

온라인: 정보통신보조기기 누리집

오프라인: 읍면동 주민센터, 우편 접수, 지자체 정보화부서

접수기간: 2025년 5월 ~ 6월 중 (서울 예: 5.7 ~ 6.23)

필요서류: 신청서, 복지카드, 신분증, 소득 확인자료 등

📦 보급 절차

• 신청 → 전문가 상담/적합도 검증 → 대상자 선정 → 보조기기 전달 → 사후 교육

• 전국 상담전화: 1588-2670

📈 보조기기 실질 지원 예시
장애유형 대표 기기 최대 지원율 본인부담
시각장애 점자정보단말기, 확대독서기 최대 94% 약 6~20%
청각장애 영상전화기, 진동알림기 최대 94% 약 6~20%
※ 출처: 과학기술정보통신부,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, 복지로 | 기준일: 2025년 8월